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외신보도] 레고랜드 사태, 2011년 저축은행 사태와 비슷한 경제위기 초래

by enter№º232 2022. 11. 2.
반응형

레고랜드로 초래된 한국시장의 불안이 2011년 저축은행 사태와 매우 흡사하다고 블룸버그 기사에서 밝혀

 

블룸버그 발 기사에 따르면 지난 3개월 동안  한국의 부채 수익률은 159bp 상승했으며 이는 5년 만의 최고치, 거기에 덧붙여 회사가 급여 같은 단기 지불을 위해 발행하는 회사채(cp)의 수익률이 13년 만에 최고로 치솟았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강원도지사인 김진태 도지사의 하나의 발언때문에 촉발되었습니다. 지난달 28일 강중도개발공사의 회생절차를 신청한다고 선언하면서 강원도가 중도 개발공사를 위해 서준 채무 2050억을 갚지 않겠다고 선언하자 강원도같이 신용등급이 높은 증권조차 채무 불이행에 빠졌다며 시장의 불안을 가속화했다고 밝혔습니다. 

 

 

왜 이게 문제가 될까? 

여기서 한국에 광범위한 부동산 부분의 핵심 자금원인 자산담보부기업어음(Asset-Backed Commercial Paper: ABCP)이 이미 금리인상의 영향으로 긴장하고 있었는데 이와 관련된 건설 프로젝트와 관련된 대출이 앞으로도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시장의 불안감을 증폭시켰고 NICE에 따르면 2022년 말까지 증권사와 건설사가 지원하는 이런 상품들이 최소 23조억 가량이 만기가 될 예정인데 불안감이 더 가중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이에 따라 한국정부는 신용시장에 50조 원의 지원을 약속했고 금융지주 5곳 또한 자금지원을 약속하면서 신용시장 안정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한국의 채권시장은 아시아 시장에 비해서 매우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 위기 도미노 현상이 2011년 저축은행 사태와 매우 유사하다고 밝혔습니다. 2011년 저축은행들이 부동산 시장이 냉각되면서 20개 이상의 회사가 파산했었습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한국의 부동산 시장을 얼어붙게 하면서 한국은행도 그들과 같이 금리는 계속해서 올라갈 추세이기떄문에 현재의 위기를 정부가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지난 1년간 한국에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지 세계의 언론이 한국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